티스토리 뷰
무더운 여름과 선선한 가을 사이에 아이들은 감기도 많이 걸리지만 수족구에 감염되는 경우도 많아 집니다. 수족구(手足口, HFMD ; Hand-Foot-and-Mouse-Disease)는 말뜻 그대로 손,발,입에 주로 발생하는데요. 주로 콕사키바이러A16, 엔테로바이러스71(EV71)에 의한 질병입니다.
◇ 수족구 증상
수족구는 주로 두통, 발열, 구토, 구강내 물집, 입술 주위 홍조, 손발 물집이나 진무름, 목구멍 부어오름등의 증상을 동반 합니다. 감염이 되어도 보통 3~7일의 잠복기를 가집니다.
보통 유아와 10세 미만 아동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10세 이상 아동·청소년, 성인들은 거의 걸리지 않지만 면역력이 떨어지면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건강한 경우에는 감염이 되어도 특별한 증상 없이 넘어 가기도 합니다.
◇ 수족구 예방 및 치료
수족구는 전염병으로 보통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침이나 타액, 진액 또는 감염자의 배설물에 의한 직접적 접촉에 의해서 감염 됩니다. 특히 배변한 아기 기저귀를 통한 감염이 많기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아이가 수족구에 걸렸다면 며칠간은 유치원이나 학교를 쉬면서, 다른 아이들과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보통 물집이 3~4일정도 나타나는데 물집이 완전히 사라질때까지 가정에서 격리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예방책은 감기도 마찬가지만 손씻기가 기본 입니다. 감염된 유아의 물건 접촉, 신체 접촉 역시 피해야 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서도 감염이 될 수 있기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수족구는 바이러스를 직접 잡아주는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므로 특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보통은 발병후 휴식을 취하면 자연 호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휴식을 취할때 영양 섭취도 잘 해줘야 하는데, 구강내 물집이나 목구멍이 부으면 통증으로 인해 음식 섭취를 잘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탈수의 위험이 있으니 특히 신경쓰셔야 하며 탈수가 심하다면 수액 치료도 필요 합니다.
물집, 발열, 통증등이 가라앉지 않고 지속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증상이 보인다면 약물을 이용해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고열일 경우에는 해열제나 미온수를 사용한 입욕등이 열을 내리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이들마다 병세의 증상이 동일하지 않기에 일단 의심이 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땀띠를 수족구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땀띠일 경우, 해당 부위의 열을 최대한 내리면서 수딩젤을 발라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가루가 날리는 분(파우더)는 모공을 막아 오히려 트러블을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땀띠인지 수족구인지 헷갈린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과 처방을 받아보세요.
'3 ST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게릭병 치료 ··· 이제는 인공지능이 해결? (0) | 2017.09.11 |
---|---|
개인 신용등급 소득차이도 영향이 있을까? (0) | 2017.09.10 |
르노 전기차 트위지···아쉬움으로 정주행? (2) | 2017.09.06 |
컴퓨터 저장장치 HDD와 SSD 는 무슨 차이? (0) | 2017.09.05 |
대상포진···코끝 수포가 치명적인 이유 (0) | 2017.09.03 |